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이야기/Industry News

자동차 업계 5대 핫이슈 (3월 10일~3월 17일)

by 빕준 2025. 3. 17.

지난 7일간 자동차 업계에서 주목할 만한 5가지 주요 뉴스를 요약해 드리겠습니다.

 

1. 이탈리아, 자동차와 방위 산업 연계 계획 수립 중


이탈리아는 자동차, 방위, 항공우주 산업을 통합하는 산업 계획을 수립 중이며, 이는 6월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이 계획은 부품 생산과 기계 가공의 성장을 촉진하고, 유럽의 방위비 지출 증가와 공동 군사 자금 조달 논의와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독일의 라인메탈은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와 협력하여 자동차 공장을 방위 장비 생산을 위해 재활용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기술 혁신과 산업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정부와 민간 부문 간의 협력이 강화됨에 따라 유럽 전체의 산업 구조에도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다른 유럽 국가들에도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처: Reuters

 

 

 

2. BMW, 글로벌 관세 전쟁으로 10억 유로 이익 감소 예상

 

BMW는 글로벌 관세로 인해 올해 10억 유로의 이익 감소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 전기차 수입에 대한 EU의 관세와 미국의 알루미늄 관세 등의 영향으로, BMW의 자동차 마진 전망치가 전년도의 6.3%에서 5~7%로 하향 조정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경쟁 심화와 공급망 불안정 등 외부 요인에 기인하며, 회사는 비용 구조 개선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관세 전쟁이 장기적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향후 대응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Financial Times

 

 

3. 전기차 제조사들, 운전자 유치와 벌금 회피를 위한 노력

 

전기차 제조사들은 판매 촉진과 정부 벌금 회피를 위해 평균 12%, 최대 28%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높은 가격과 제한된 충전 인프라로 인해 개인 구매자들의 전기차 전환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새로운 휘발유 차량 판매를 금지하고, 2035년까지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도 중단하는 등 야심찬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할인 정책은 소비자들의 초기 부담을 줄이고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할 전략으로 해석되며, 제조사들은 기술 혁신과 충전 네트워크 확장을 통해 신뢰 회복에 힘쓰고 있습니다. 업계 내부에서는 향후 몇 년간 전기차 시장의 판도가 크게 변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출처: The Times

 

 

4. 대형 SUV, 엔진 다운사이징 추세

 

최근 몇 년간 SUV의 엔진 다운사이징이 연비 개선과 배출 규제 대응을 위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Infiniti QX80과 Lexus LX600은 트윈 터보 V6 엔진을 채택했으며, 일부 중형 및 소형 SUV는 터보차저 3기통 또는 4기통 엔진으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엔진 변화는 연비 개선과 중간 범위 토크 향상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일관되지 않은 출력 전달과 장기적인 신뢰성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는 경향에 부합하며, 제조 비용 절감과 기술 혁신의 결과로 해석됩니다. 전문가들은 이 추세가 향후 SUV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출처: Business Insider

 

Passenger car production declined 11.3 percent year-on-year to 74,453 units. That followed the 2.8 percent decline in the previous month.

 

5. 터키 자동차 산업, 2월 생산량 13% 감소

 

터키 자동차 산업은 2월에 총 114,346대를 생산하며 전년 대비 13.4% 감소하는 기록을 보였습니다. 승용차 생산 역시 74,453대로 11.3% 감소하여, 1월의 2.8% 감소에 이어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산량 감소는 경제적 불확실성과 공급망 문제 등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며, 산업 관계자들은 개선된 정책과 투자 촉진이 회복에 필수적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향후 몇 달간의 시장 동향에 따라 터키 내 제조업 전반의 방향성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출처: Hurriyet Daily News

반응형